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화면크기 ENG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사이트맵

닫기

저작권 산업기술 동향

저작권 산업기술동향 상세보기
제목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5-10-1호)
담당부서 정보기술팀 전상홍(0057920150) 등록일 2025-10-17
첨부문서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5-10-1호).pdf 미리보기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5-10-1호)_뷰어 게시용.pdf 미리보기

ISSN 2983-1954 (Online)

 

 

□ 팬 직접 거래와 AI 지원을 결합한 음악 산업의 새로운 수익 모델

 ○ 오픈웨이브가 제시하는 음악 산업의 슈퍼팬 기반 수익 모델

  - 음악 산업에서 스트리밍 서비스의 낮은 수익성으로 인해 대량의 재생 횟수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 대신 충성도 높은 팬과 직접 관계를 맺는 새로운 수익 모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팬 직접 거래 플랫폼들은 음악 저작권자와 슈퍼팬(Superfan) 간 소통을 제공하는 장으로 활용된다. 일례로, 오픈웨이브(OpenWav)는 통합형 팬 직접 거래 플랫폼으로, 저작권자는 이를 통해 티켓 판매부터 맞춤형 상품 제작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기존에 팬 데이터 소유권이 스트리밍 플랫폼에 국한되었던 기존 음악 유통 구조에 변화가 일고 있다.

   ※ (주제어) 음악 산업, 오픈웨이브, 슈퍼팬 기반 수익 모델, 음악 저작권자, 슈퍼팬, 데이터 소유권

 

□ IBC 2025에 나타난 미디어 제작 산업의 AI 도구 확산 동향

 ○ 미디어 제작 분야 AI 도구의 실용화 단계 진입

  - 2025년 9월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국제방송박람회(IBC 2025)를 통해 확인된 바에 따르면, 글로벌 미디어 제작 산업에서 AI 도구가 실험 단계를 넘어 실용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170개국이 참여한 이번 행사에서는 생성형 AI, 에이전트형 워크플로우,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이 집중 전시되었으며, AI 시스템이 스크립트 제작부터 최종 배포까지 미디어 제작 전체 주기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간 방송 제작에서 자동 카메라 추적, 오디오 레벨 최적화, 실시간 그래픽 생성 등의 기술적 요소를 AI가 담당하면서 업무 효율성이 상승하고 있지만, 이와 동시에 AI 시스템의 효과성 확보를 위해 중앙화된 콘텐츠 저장소와 보다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 (주제어) IBC 2025, 미디어 제작 산업, AI 도구, 국제방송박람회, 글로벌 미디어 제작 산업, 생성형 AI, 에이전트형 워크플로우,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AI 시스템

 

□ 스트리밍 중 실시간 편집 가능한 오디오 구간 분리 AI 기술

 ○ 실시간 편집 가능한 오디오 분리 기술과 활용 영역

  - AI 기반 오디오 분리 기술은 영상 제작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포함되는 저작권이 있는 음악이나 과도한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된다. 해당 기능과 관련하여 최근 오디오셰이크(AudioShake)가 스트리밍 방송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새롭게 발표된 기술은 음악·음성·배경 소음을 자동으로 분리하거나 특정 악기와 보컬을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방송사와 스포츠 중계, 사용자 제작 콘텐츠(User-Generated Content, UGC) 플랫폼뿐 아니라 음악 앱, 교육용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주제어) AI 기술, 오디오 분리 기술, AI 기반 오디오 분리 기술, 오디오셰이크, 사용자 제작 콘텐츠,  음악 앱, 교육용 소프트웨어

 

□ 유튜브, 크리에이터 얼굴 등록해 AI 생성·변조물 식별하는 유사성 감지 기능 도입

 ○ 유튜브, 수월한 창작 활동 지원하는 기술적 환경 조성 가속

  - 2025년 9월 16일, 유튜브(YouTube)가 크리에이터들이 자신들의 콘텐츠 무단복제를 신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롭게 업데이트된 기술을 공개하였다. 새로 도입된 유사성(likeness) 감지 기능은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얼굴 이미지를 등록하면 AI가 플랫폼 내 무단 사용을 탐지·알림하고, 필요 시 삭제 요청까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는 유튜브의 콘텐츠 ID(Content ID) 기능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콘텐츠 ID 기능이 크리에이터가 제출한 음원·영상 등 저작물을 식별하듯, 크리에이터의 ‘얼굴(초상)’을 기준으로 플랫폼 전체를 스캔해 무단으로 얼굴을 사용한 영상을 잡아내도록 설계되었다.

   ※ (주제어) 유튜브, 콘텐츠 무단복제, 콘텐츠 ID, 음원, 영상

 

□ 실제 공간을 가상현실로 변환하는 하이퍼스케이프(Hyperscape) 기술

 ○ 2025년 9월 메타 커넥트(Meta Connect)에서 실제 공간 VR 전환 기술 발표

  - 2025년 9월 하이퍼스케이프(Hyperscape) 기술의 베타 서비스 출시가 발표되면서 실제 공간을 사진 수준의 정밀한 VR 환경으로 변환하는 서비스가 본격화됐다. 이 기술은 기존 360도 가상 투어의 3DOF 한계를 극복하고 완전한 6DOF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는 공간 내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VR 상황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현재 유명인의 사적 공간과 특별한 장소들을 대상으로 베타 서비스가 운영되며 기술의 실용성이 입증되는 단계이지만, 클라우드 스트리밍으로 인한 지연 문제와 높은 운영 비용 등 상용화를 위한 해결 과제는 남아 있다.

   ※ (주제어) 하이퍼스케이프, 메타 커넥트, 3DOF, 6DOF

 

□ 주간기술동향

 ○ ‘대조 학습’ 기반 생성형 AI 산출물 저작권 탐지 기술

  - AI 산출물에 대한 저작권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AI가 원본과 위조된 이미지를 비교하면서 ‘두 작품이 얼마나 관계가 있는가’를 학습하도록 설계된 모델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원본과 위조본을 ‘긍정 쌍’으로 묶어 가깝게 인식하게 하고, 전혀 관련 없는 이미지는 ‘부정 쌍’으로 떨어뜨려 인식하게 만든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AI 내부에는 작품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종의 ‘지도’가 만들어지는 구조로, 새로운 작품이 들어오면 이 지도를 기준으로 원작과의 연관성을 판단한다. 이 방식은 단순히 눈에 보이는 픽셀 유사성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화풍이나 구성 같은 개념적인 특징까지 파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 DFA-CON의 기술적 원리를 분석하여 현실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 (주제어) 대조 학습, 생성형 AI 산출물 저작권 탐지 기술, DFA-CON

공공누리 마크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5-10-1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