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이원적 행정체계로 구분되어 있으나 중앙정부가 통치권을 가지고 각 주에 그 일부를 배분하는 중앙집권적 단일국가의 특성을 가짐. 인도에서 현재 저작권 보호는 1957년 저작권법(The Copyright Act, 1957)이 1958년 1월부터 시행되어 1983년, 1984년, 1992년, 1994년, 1999년, 2012년에 개정된 바 있음. 2012년 개정은 WIPO 저작권협약 및 WIPO 실연 및 음반 협약에 부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중요 개정 사항으로 기술 보호 조치 및 권리 관리 정보의 무력화에 대한 처벌,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의 책임 규정, 방송에 대한 법정허락 도입 등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유형의 저작권 및 그 침해에 대한 보호를 확대함. 인도는 베른협약 회원국으로 저작물의 창작만으로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어 저작권 등록이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저작권 등록을 통해 저작권 침해 발생 시 권리 주장 및 저작권 보호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음. 그 외에도 인도는 세계 저작권 협약, TRIPS 협정, WIPO 저작권협약 및 WIPO 실연 및 음반 조약에도 가입되어 있어 외국의 저작물도 인도 국내 저작물과 동일한 보호를 받을 수 있음.
어문 저작물 (컴퓨터 프로그램, 표, 데이터베이스 기타 편집물 포함)
연극 저작물
음악 저작물
미술 저작물 (예술성을 불문한 사진, 도면, 건축저작물 포함)
영상물
녹음물
① 저작인격권
② 저작재산권
가입·비준 연도 | 조약명 |
---|---|
1928 | 문학·예술적 저작물의 보호를 위한 베른협약 |
1931 | 실연자, 음반 제작자 및 방송사업자 보호를 위한 협약 |
1957 | 세계 저작권 협약 |
1974 | 음반의 무단복제에 대한 음반 제작자 보호 협약 |
1995 |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에 관한 협정(TRIPS/WTO) |
2018 | WIPO 실연음반협약 |
2018 | WIPO 저작권협약 |
2014 | 마라케시 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