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저작권 이슈 트렌드_통권 제51호(2025-1-2호) | ||
---|---|---|---|
담당부서 | 심의산업통계팀 전상홍 | 등록일 | 2025-01-24 |
첨부문서 | |||
ISSN 2983-1946 (Online)
□ AI 예술 시장의 성장과 저작권 논쟁 - AI 예술 시장은 기술 혁신에 힘입어 연평균 28.9%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시장 성장과 함께 2024년 다양한 논란도 일으켰다. - 코카콜라, 레고, 넷플릭스 등의 글로벌 주요 브랜드들이 AI 생성 이미지를 사용하면서 품질 저하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 미국 저작권청이 미술 박람회에서 수상한 예술 작품의 저작권 등록을 거부하는 등, AI 예술의 사용과 관련된 법적,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이에 따라 AI 예술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브랜드별 AI 활용 전략을 재검토 하는 등의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 (주제어) 미국 저작권청, 코카콜라, 레고, 넷플릭스, AI 예술, AI 예술 산업, AI 예술 시장, AI 생성 이미지, 예술작품, 저작권 등록 □ 2025년 미디어 소비와 관리 전망 - 2025년 미디어 산업은 몰입형 기술과 라이브 콘텐츠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될 전망이다. - VR, AR 등 몰입형 기술은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 아바타 표준화와 햅틱 기술의 발전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존 구독 모델에서 벗어나 하이브리드 수익화 모델로 진화하고 있으며, 개인화된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충성도를 높이고 있다. - 또한 클라우드와 에지 컴퓨팅, 5G 네트워크의 발전은 미디어 관리 및 전송 인프라를 변화시키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 이러한 변화는 미디어 기업이 사용자 중심의 경험과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주제어) 미디어 산업, 몰입형 기술, AR, VR, 아바타 표준화, 햅틱 기술, 스트리밍 서비스, 라이브 콘텐츠 □ 저작권 보호를 위한 탈중앙화 인공지능 -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산업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지만, AI 모델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침해와 창작물 활용 문제는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다. - 이러한 상황에서 중앙화된 AI 시스템은 저작권 보호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탈중앙화 인공지능(decentralized artificial intelligence, deAI)이 주목받고 있다. - deAI는 블록체인과 분산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해 AI 개발과 운영을 분산화 하고, 데이터 통제권과 훈련 과정의 투명성을 강화한다. - 이 기술은 창작물의 고유성을 보존하며, 소유권과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해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향후 법적·기술적 정비와 국제적 협력이 뒷받침된다면, 탈중앙화 인공지능은 AI와 저작권 산업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 도구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 (주제어) AI, 탈중앙화 인공지능, deAI, 블록체인, 데이터 훈련 과정, 소유권, 거래 내역, 저작권 산업, 저작권 보호, 창작자
|
이전글 | 비즈니스 인사이트(2025-1-4호) |
---|---|
다음글 |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5-1-4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