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사이트맵

닫기

저작권 산업기술 동향

저작권 산업기술동향 상세보기
제목 저작권 이슈 트렌드_통권 제47호(2024-12-1호)
담당부서 심의산업통계팀 전상홍 등록일 2024-12-13
첨부문서

저작권 이슈 트렌드_통권 제47호(2024-12-1호).pdf 미리보기

ISSN 2983-1946 (Online)

 

 

□ 동적 음악 NFT: 아티스트-팬 관계의 혁명적 변화와 음악 산업의 새로운 지평

  - 음악 NFT는 여러 블록체인에 존재하지만, 단 하나의 노래 등 하나의 디지털 자산만 나타낼 수 있다.

  - 음악가들은 보통 여러 개의 노래를 앨범이나 플레이리스트로 묶어 발표하므로 이러한 제한은 유연성이 떨어진다.

  - 이에 동적 음악 NFT가 등장했다. 이는 기존 NFT와 달리 특정 요인이나 상호작용에 따라 진화하거나 변경되도록 설계되었다.

  - 따라서 아티스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노래 믹스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리믹스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팬들은 독점 라이브 스트리밍을 이용하거나 아이디어를 제출해 창작 과정에 참여할 수도 있다. 

※ (주제어) 음악산업, 블록체인, 노래, 디지털 자산, NFT, 음악 NFT, 동적 음악 NFT, 노래 믹스, 리믹스, 음악가, 아티스트, 팬, 라이브 스트리밍

 

□ AI와 플레이어가 함께 만드는 미래의 게임 내러티브: 마이크로소프트의 혁신적 연구

  - 기존에는 비디오 게임을 개발할 때 대화와 내러티브를 만드는 과정은 수작업 코딩이 필요한 노동 집약적 작업이었으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등장하며 보다 역동적이며 풍성한 내러티브 경험을 할 수 있게 됐다.
  - 그럼에도 인간의 개입이 없을 경우 패턴이 반복된다는 것이 해결 과제로 제시되었다.
  - 이에 Dejaboom!이라는 게임을 통해 플레이어가 설계 과정에 참여할 경우 LLM이 독특한 형태의 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는지 탐구했다.
 - 그 결과 인간 플레이어는 LLM과 협력하여 게임 내러티브를 통해 흥미롭고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경로를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이로써 창의적이고 동적인 게임 내러티브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 (주제어) AI, 비디오 게임, 대화, 내러티브, 게임 내러티브, 플레이어, LLM

□ 인공지능(AI) 기반 게임 IP 생성과 저작권 이슈

  -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게임 개발이 확대됨에 따라 저작권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 실제로 시각적 AI 모델을 테스트한 결과 간략한 프롬프트가 주어질 경우 모델은 콘텐츠 이미지를 거의 정확하게 재현해낸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위기 의식이 높아지자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이 운영사 밸브(Valve)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제작한 콘텐츠를 게임에 적용한 경우 유통을 제한한다고 밝혔다.

  - 또 게임 '팰월드(Palworld)'는 등장하는 몬스터 '팰(Pal)'의 모습이 포켓몬(Pokemon)과 매우 흡사하여 비판을 받았다.

  - 이러한 가운데 글로벌 게임사들은 원본 콘텐츠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거나 생성형 AI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등 여러 전략을 취하고 있다. 

※ (주제어) 인공지능, AI, 생성형 AI, 게임 개발, 시각적 AI 모델, 프롬프트, 콘텐츠, 원본 콘텐츠, 콘텐츠 이미지, 게임 IP, 저작권, 라이선스 계약, 스팀, 밸브, 팰월드, 팰, 포켓몬
공공누리 마크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이슈 트렌드_통권 제47호(2024-12-1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