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사이트맵

닫기

저작권판례

저작권판례 상세보기
제목 글씨체를 출력한 다음 스캔하여 만든 글자의 사용과 저작권 침해
담당부서 산업연구팀 등록일 2013-12-23
첨부파일

2012고정494, 고단1923.pdf 바로보기

서울동부지방법원 2013. 1. 18. 선고 2012고정494, 2012고단1923 판결: 확정

 

사실관계

- 2012고정494: 피고인은 피해자가 개발하여 공표한 서체를 피고인이 소속된 회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포장지에 무단으로 사용하였음.

- 2012고단1923: 피고인은 피해자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글씨체를 인터넷에서 발견하고 그 글자 이미지를 캡처하여 일종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 붙여 넣은 후 그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글자 크기를 확대하여 출력한 다음 이를 스캔하여 그림 파일로 저장하고 그 후 포토샵 프로그램으로 그림 파일을 불러들인 다음 필요한 글자의 외곽선에 점을 찍은 작업(서체 아우트라인 패스 작업)을 거친 다음 그 점들을 이어 선이 생기게 하여 글자를 완성하였고 이 글자를 위 회사에서 생산한 제품의 포장지에 무단으로 사용하였음.

 

쟁점

- 2012고정494: 서체가 저작물인지 여부

- 2012고단1923: 글씨체를 스캔하여 글자를 만든 행위가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의 복제나 개작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

o 2012고정494

- 서체 도안은 미술 저작물의 일종인 서예와는 달리 개념, 기능, 용도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바, 이 사건 서체 도안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서체 도안의 경우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그 자체를 미적 감상의 대상으로 할 의도로 작성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임.

- 이 사건 서체 도안은 그 미적 요소 내지 창작성이 문자의 본래 기능으로부터 분리·독립되어 별도로 감상의 대상이 될 정도의 독자적 존재를 인정하기 어려우므로 저작권법상 보호의 대상이 되는 저작물 내지는 미술 저작물이라고 보기 어려움.

o 2012고단1923

- 피고인이 이 사건 글씨체 프로그램 자체를 다운로드하여 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포장지에 쓰일 문자를 디자인한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은 방식으로 디자인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식의 디자인은 프로그램을 복제한다거나 개작하는 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함.

 

결론

- 피고인은 무죄

  • 담당자 : 장민기
  • 담당부서 : 국제통상협력팀
  • 전화번호 : 055-792-0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