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저작권 이슈 트렌드_통권 제54호(2025-2-2호) | ||
---|---|---|---|
담당부서 | 심의산업통계팀 전상홍 | 등록일 | 2025-02-26 |
첨부문서 | |||
ISSN 2983-1946 (Online)
□ 2025년 글로벌 지식재산권(IP) 동향 전망: 디지털 혁신과 지속 가능성에 따른 법적 변화 - AI 기술의 발전으로 AI 생성 콘텐츠의 저작권과 AI 발명품의 특허 등록 문제가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 기업들은 AI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IP 보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자산 보호를 위한 사이버 보안 기술과의 융합이 활발하다. - 친환경 기술 분야에서는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등의 특허 출원이 급증하고 있으며, NFT를 활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도 강화되고 있다. - IP는 이제 기업의 핵심 자산으로 인식되어 전문적인 가치 평가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제적인 IP 침해 문제 해결을 위한 글로벌 협력도 확대되고 있다. ※ (주제어) AI, AI 생성 콘텐츠, 블록체인, NFT, 지식재산권, IP, IP 침해, IP 보호 시스템, 디지털 자산 보호, 저작권, 디지털 저작권 보호 □ 2025년 비디오 게임 산업 변화: 주요 기업 전략과 시장 전망 - 글로벌 비디오 게임 산업은 2023-24년의 침체기를 지나 2025년에는 시장이 회복세로 돌아서며, 연 6% 성장이 예상된다. - AI 기술이 게임 개발의 생산성을 높이고 플레이어 경험을 개인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나, 창의성 저하와 저작권 문제 등의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VR과 AR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몰입감 있는 게임 경험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며,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플랫폼도 계속 성장하고 있다. - 게임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소비자 친화적 수익 모델 구축, 독립 개발사 지원, 새로운 게임 경험 제공 등이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 (주제어) AI 기술, AR, VR, 게임 산업, 비디오 게임 산업, 글로벌 비디오 게임 산업, 사용자 생성 콘텐츠, UGC, 사용자 생성 콘텐츠 플랫폼, 저작권 문제 □ 제너레이티브 아트의 성장과 저작권 보호의 진화 - AI 기술과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으로 제너레이티브 아트 시장을 비롯한 디지털 아트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미드저니, 달리, 나이트카페 등 주요 제너레이티브 AI 개발사들은 B2B 솔루션, 오픈소스 개발 등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AI 기술 발전으로 저작권 보호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고, 이에 어도비의 '콘텐츠 자격증명' 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보호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 최근에는 레픽 아나돌의 데이터 기반 예술과 한국 AI 아티스트들의 국제 전시 등 혁신적인 시도들은 AI와 예술의 융합을 가속화하며 디지털 아트 시장의 확장을 이끌고 있다. ※ (주제어) AI 기술, 디지털 플랫폼, 디지털 아트 시장, 제너레이티브 아트, 제너레이티브 아트 시장, 미드저니, 달리, 나이트카페, 어도비, 레픽 아나돌, 오픈소스 개발, 콘텐츠 자격증명, 저작권 보호 |
이전글 | 로컬이 곧 글로벌, 넷플릭스의 투자 전략 |
---|---|
다음글 |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5-2-4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