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사이트맵

닫기

공공누리

상세보기
제목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4-9-3호)
담당부서 심의산업통계팀 전상홍 등록일 2024-09-23
첨부문서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4-9-3호).pdf 미리보기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4-9-3호)_뷰어 게시용.pdf 미리보기

ISSN 2983-1954 (Online)

 

 

□ 유튜브, 크리에이티브 통제권 강화 위해 자체 딥페이크 감지 기술 개발

 ○ 얼굴이나 목소리 표현 방식 관리 및 통제

  - 유튜브가 AI 기술을 사용해 얼굴이나 음성을 무단 복제하는 콘텐츠를 막기 위해 합성된 노래를 식별할 수 있는 기술과 특정인의 얼굴을 사용한 AI 생성 콘텐츠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 개발 중인 기술이 상용화되면 유튜브 플랫폼 내 개인정보 보호가 더욱 강화되고 얼굴이나 목소리 등이 표현되는 방식을 관리 및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주제어) 유뷰트, 크리에이티브, AI, 무단 복제, AI 생성 콘텐츠, 얼굴, 음성, 목소리, 노래, 딥페이크

 

□ 임베딩 최적화와 쿼터니언 모멘트 기반의 ‘가역 워터마킹 체계’

 ○ 높은 수준의 비가시성, 보안과 견고성 강화

  - 모로코 국립 응용 과학 대학 연구팀이 쿼터니언 모멘트 및 웨이블릿 변환, 대수 분해, 혼돈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하는 컬러 이미지에 대한 개선된 워터마킹 시스템 기술을 발표함.

  - 이 시스템은 디지털 워터마킹과 암호화의 원리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높은 수준의 비가시성을 유지하면서도 보안, 저장 용량, 다양한 공격에 대한 저항성 등의 측면에서 기존의 컬러 이미지 워터마킹 방법에서 개선된 기술로 평가됨

※ (주제어) 모로코 국립 응용 과학 대학 연구팀, 임베딩 최적화, 쿼터니언 모멘트, 웨이블릿 변환, 대수 분해, 혼돈 시스템, 컬러 이미지, 워터마킹 시스템, 가역 워터마킹 체계, 디지털 워터마킹, 이미지 워터마킹, 비가시성

 

□ IP기반의 무형 자산 투자 증대 지속

 ○ 한국 IP 수출은 한류 콘텐츠와 저작권 분야가 가장 큰 비중

  - 2023년, 글로벌 총 무형자산 투자액이 6.9조 달러를 기록함.

  - 이는, 지식재산권(IP)에 기반한 무형 자산이 기업이 디지털 변환에 적응하고 빠르게 대응하며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임을 보여줌.

  -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글로벌 무형 자산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이는 특히, 미국과 유럽의 고소득 국가와 인도와 같은 신흥 경제국에서 두드러짐

※ (주제어) 미국, 유럽, 한국, 무형 자산, 무형 자산 투자, 지식재산권, IP

 

□ 빅테크 기업들, 출처 명확한 콘텐츠 확보 위해 출판사와 상생 관계 구축

 ○ 빅테크 기업들과 출판사들의 협업 움직임을 두고 의견 분분

  - 최근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정보 출처가 명확하고 신뢰성이 보장된 콘텐츠 확보를 위해 미디어 그룹 및 뉴스 출판사와의 협업을 가속화하고 있음.

  - 오픈AI는 뉴스 코퍼레이션과의 협업으로 5년간 2억5000만달러 이상을 뉴스코프에 지급하고 발행된 콘텐츠 뿐 아니라 기자들의 전문 지식까지 공유하기로 합의했고, 구글도 AI 관련 콘텐츠 개발 명목으로 뉴스코프 측에 연간 최대 600만달러를 지급하고 AI 콘텐츠 이용 및 제품 개발 추진 중임

※ (주제어) 글로벌 빅테크 기업, 구글, 오픈 AI, 미디어 그룹, 출판사, 뉴스 출판사, 뉴스 코퍼레이션, 뉴스코프, 콘텐츠, 전문 지식, AI 콘텐츠, 정보 출처, 출처

공공누리 마크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창작한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4-9-3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