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저작권 이슈 브리프(2024-1-2호) | ||
---|---|---|---|
담당부서 | 심의산업통계팀 전상홍 | 등록일 | 2024-01-15 |
첨부문서 | |||
ISSN 2983-1954 (Online)
□ 웹3.0 시대의 창작자 경제 창출을 위한 12가지 과제 ○ 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은 메타버스-웹3.0 시대에 일본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경제적 요인으로 창작자 경제에 주목 -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콘텐츠 경쟁력은 창작자에서 비롯되었고, 이를 메타버스-웹3.0 시대의 무기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 - 정치, 경제, 사회, 기술적 측면에서 총 12개의 발전 과제를 제시했는데, 콘텐츠 창작자를 육성, 지원, 보호하는 방안에 주력한 것 ※ 주제어 : 일본 경제산업성, 메타버스, 웹 3.0, 창작자 경제, 창작자 □ 음악 창작 플랫폼 밴드랩, "음악 소비자와 창작자가 규모 비슷해질 것" ○ 음악산업을 혁신할 기업으로 주목받는 밴드랩(BandLab)은 음악 창작자 수가 2030년 10억 명을 돌파하고 최종적으로는 소비자와 창작자 규모가 비슷해질 것이라 전망 - 밴드랩의 CEO인 궉멍루(Meng Ru Kuok)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사진작가’에 대한 정의가 바뀐 것처럼 음악 창작자의 정의도 바뀔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창작자 수 급증을 전망 - 음악 창작 플랫폼인 밴드랩은 음악 소비자와 창작자를 창작 과정의 각기 다른 단계에 있는 사람들로 보면서 창작 활동이 사회적 활동처럼 보편화될 것이며, 창작의 첫 단계를 밟는 사람들을 지원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 ※ 주제어 : 음악, 작곡, 밴드랩, 생성형 인공지능, AI, 송스타터 □ 할리우드 경영자들의 2023년 주요 이슈에 대한 관점 ○ 제작사, 배우 에이전시 등 할리우드 주요 경영자들이 2023년 주요 이슈를 토론하며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현재를 진단 - 할리우드 파업 여파,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 규모 축소 우려 등으로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전반에서 신중한 태도가 확산되는 중 - 반면 경직된 할리우드 시스템이 새로움을 원하는 소비자에게 소구력을 갖지 못한다는 반성도 나옴 - 디지털 플랫폼의 영향력이 한동안 이어지겠지만, 선형 TV 등 기존 플랫폼을 완전히 제거하기보다는 다양화로 해석 ※ 주제어 : 할리우드,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할리우드 파업, 할리우드 스튜디오, 선형 TV, 로스엔젤레스 타임스, LA타임스 □ 2024 게임산업 주요 이슈 전망…새로운 하드웨어, 이어지는 정리해고, AI 활용한 게임 개발 ○ 팬데믹 시기 호황을 경험했던 게임산업은 이후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2024년에도 산업 분위기는 이어질 전망 - 게임산업의 시장 규모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팬데믹 호황 이후 성장률이 크게 낮아진 상황 - 새로운 콘솔 기기 출시와 모바일 게임의 수익성 향상, 인스턴트 게임의 성장 등 시장 성장을 기대할 요인들도 전망되지만, 방어적 인수합병과 비용효율화 추세 지속 등 게임산업의 위기 방어 전략이 이어질 전망 ※ 주제어 : 게임산업, 인공지능, AI, 모바일 게임, 인스턴트 게임 □ 향후 5년의 콘텐츠산업 9개 트렌드와 3대 메가트렌드 본 ▷ 원고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발행한 “콘텐츠산업 트렌드 2028”을 요약 정리함. ○ 극심한 환경변화 상황에 처한 국내 콘텐츠산업은 9개 트렌드와 3대 메가트렌드의 흐름을 따를 것으로 전망됨 - 국내 콘텐츠산업은 국내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소비됨에 따라 국내외 산업 트렌드에 대한 파악과 대응이 필요함 - 콘텐츠산업은 IP를 중심으로 한 생태계 전반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시장 파편화에 따른 팬덤의 중요성도 부각됨 - 콘텐츠 소비자층이 다방면으로 확대됨에 따라 소비 결정요인을 가늠하기는 쉽지 않으나,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경험’에 대한 가치 평가가 높아진 것은 공통적인 흐름 ※ 주제어 :콘텐츠 산업, 트렌드, 메가트렌드, IP, 경험 |
이전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월간 워드 클라우드 및 주요 상담사례(23년 11월) |
---|---|
다음글 | 생성형 AI 저작권 안내서(국/영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