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사이트맵

닫기

FAQ

현재 카테고리 명 넣어주세요

22 건 (2/3 page)

FAQ 목록
번호 분야 제목 작성일 조회수
12 해외저작권상담 러시아 영화를 바탕으로 2차적 저작물 작성 2016-09-21 3477
11 해외저작권상담 해외 일간지 뉴스 발췌, 번역하여 홈페이지 게재 (링크 포함) 2016-09-21 3833
10 해외저작권상담 해외연구보고서 한국어 번역 문제 2016-09-13 2513
9 해외저작권상담 폴란드 희곡 작품 국내 연극 상영 관련 표준계약서 2016-09-13 2221
8 해외저작권상담 조지오웰의 동물농장, 1984 2016-09-13 2983
  • 저작권 보호기간은 2011년 6월 30일 개정된 저작권법에 따라 저작재산권의 보호기간이 50년에서 70년으로 연장되었으며, 2013년 7월 1일붜 시행되었습니다.

    원칙적으로 저작재산권의 보호기간은 저작자 생종하는 동안과 사망한 70년간 존속하게 되며, 공동저작물의 경우 맨 마지막으로 사망한 저작자 사망 후 70년간 존속하게 됩니다.

    외국인의 저작물도 국내에세 보호될 때에는 내국민 대우의 원칙에 따라 국내 저작물과 마찬가지로 보호되기 때문에 외국인의 저작재산군권 보호기간은 저작자인 외국인의 생존 + 사후 70년이 됩니다.

    저작재산권에 관한 보호기간의 계산은 저작자가 사망한 다음해부터 기산합니다.

    예컨대 1963년에 사망한 저작자의 저작물은 1964년 1월 1일부터 기산하여 2034년 12월 31일에 저작재산권 보호기간이 종료하게 됩니다.

    또한 연장된 보호기간을 적용하는 법 시행일(2013년 7월 1일) 이전에 보호기간이 만료된 경우 소급하여 보호되지 않습니다.

    질의 사안과 같이 1950년에 사망한 작가의 경우 1951년부터 기산하여 2001년에 이미 보호기간이 종료되었으며, 연장된 보호기간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작품을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이용허락을 받지 않으셔도 될 것으로 보이며, 번역도 자유롭게 하실 수 있습니다.

  • * 원하시는 답변이 없거나 자세한 답변을 원하시면 질문을 등록해 주세요. 문의하기
7 해외저작권상담 외국 정부 발표 성명 발췌 번역 2016-09-02 2521
6 해외저작권상담 일본 저작물의 법정허락제도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2009-09-03 6814
5 해외저작권상담 상업목적이 아닌 외서번역본의 무료 배포시 저작권 침해인가요? 2009-09-03 8141
4 해외저작권상담 해외 학술저널 내용을 요약하여 사내 특정인에게 배포 시 저작권 침해인가요? 2009-09-03 4948
3 해외저작권상담 저작권이 존속하고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나요? 2009-09-03 6806
맨처음 이전 1 2 3 다음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