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사이트맵

닫기

유형별 상담정보

링크복사

질문

  • 채용정보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구인구직 데이터베이스(DB)의 일부를 정리하여 고객들에게 배포해도 되나요?
  •  

현재 상담 진행률 100%

100%

  • 0%
  • 100%

최종답변

  • 데이터베이스의 개별 소재들을 일부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데이터베이스의 통상적인 이용과 충돌하거나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는 경우에는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다.
  • ‘데이터베이스’는 저작물이나 부호·문자·음·영상 그 밖의 형태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배열 또는 구성한 편집물로서 개별적으로 그 소재에 접근하거나 그 소재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저작권법상 데이터베이스로 보호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각 소재(예: 전화번호)가 아니라, 소재를 체계적으로 배열 또는 구성한 편집물(예: 전화번호부)이고, 저작권법은 이러한 소재의 수집, 배열, 구성, 갱신, 검증, 보충 등에 상당한 투자177)를 한 사람을 ‘데이터베이스제작자’로 보호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데이터베이스제작자는 그의 데이터베이스의 전부 또는 상당한 부분을 복제·배포·방송 또는 전송(이하 “복제 등”)할 권리를 가지므로, 데이터베이스의 전부 또는 상당한 부분을 복제 등의 방법으로 이용하면 당연히 그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 된다. 

     

    예외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개별 소재 또는 그 상당한 부분에 이르지 못하는 부분의 복제 등이라 하더라도 반복적이거나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함으로써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통상적인 이용과 충돌하거나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상당한 부분의 복제 등으로 본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개별 소재 또는 상당한 부분에 이르지 못하는 부분의 복제 등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침해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비영리 교육·학술 또는 연구를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와 시사보도를 위해 이용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의 통상적인 이용과 저촉되지 않는 한, 누구든지 데이터베이스의 전부 또는 그 상당한 부분을 복제·배포·방송 또는 전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개별 소재의 일부만을 이용하더라도, 반복적이거나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함으로써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통상적인 이용과 충돌하거나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는 경우, 데이터제작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부산지방법원 2010. 9. 2. 선고 2010가합2230 판결(‘작명법 한자자료’) 

    작명법 책자 일부 한자자료에 있어 ‘데이터베이스제작자’로서의 권리 발생과 관련하여 법원은 “이 사건 한자 부분이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하더라도 이 사건 한자 부분은 그 대부분이 원고 도서 이전에 이미 발행된 도서인 위 「C」 중 216면부터 340면까지와 거의 동일한 사실은 앞서 본 바와 같고, 달리 원고가 이를 제작 또는 그 소재의 갱신·검증 또는 보충에 인적 또는 물적으로 상당한 투자를 하였음을 인정할만한 증거가 없으므로 원고가 데이터베이스제작자로서의 권리를 가진다고 할 수 없다.”라고 판시하였다. 


    서울고등법원 2008. 4. 16. 선고 2007나74937 판결(‘법원사건검색DB’) 

    특정 법조인 2명 사이에 개인정보 및 경력이 일치하는 경우 일정 점수를 부여하여 합산하는 방법으로 인맥지수를 산출하고, 법률 서비스의 수요자들에게 이를 이용한 유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 사건에서 법원은 “사건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법원은 인적·물적으로 상당한 투자를 하여 소송사건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였을 것이므로 법원은 그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제작자로서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 할 것인데, 피고가 사건검색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반복적·체계적으로 수천만 건에 이르는 소송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구 축한 행위는 위 사건검색 데이터베이스 의 상 당 부 분 을 복제한 것에 해당하여(저작권법 제93조 제2항 참조)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하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 사건 사건정보의 수집과정에는 위법성이 있다.”라고 판단하였다. 

     

    대법원 2022. 5. 12. 선고 2021도1533 판결 

    “피고인이 API 서버로부터 수집한 정보가 피해자 회사의 숙박업소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일부에 해당하는 점, 이러한 정보들은 이미 상당히 알려진 정보로서 그 수집에 상당한 비용이나 노력이 들었을 것으로 보이지 않거나 이미 공개되어 있어 이 사건 앱을 통해서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고, 데이터베이스 갱신 등에 관한 자료가 없는 점, 이러한 피고인 등의 데이터베이스 복제가 피해자 회사의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통상적인 이용과 충돌하거나 피해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타 회사의 API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집한 피고인의 행위가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


    ●서울동부지방법원 2014. 12. 24. 선고 2014가합104306 판결 

    “피고들은 원고의 데이터베이스의 개별 소재에 해당하는 각 경매사건의 매각대금에 관한 정보들(위와 같이 원고가 의도적으로 틀리게 수정·입력하여 게시한 것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상당수의 정보들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의 복제물을 반복적으로 영업목적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자신들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원고의 저작권법 제93조2의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침해하였다고 할 수 있다.”

자동응답기능 만족도 조사

관련법령

저작권법 제93조(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1. ①데이터베이스제작자는 그의 데이터베이스의 전부 또는 상당한 부분을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이하 이 조에서 "복제등"이라 한다)할 권리를 가진다.
    ②데이터베이스의 개별 소재는 제1항의 규정에 따른 당해 데이터베이스의 상당한 부분으로 간주되지 아니한다. 다만, 데이터베이스의 개별 소재 또는 그 상당한 부분에 이르지 못하는 부분의 복제등이라 하더라도 반복적이거나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함으로써 당해 데이터베이스의 통상적인 이용과 충돌하거나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이익을 부당하게 해치는 경우에는 당해 데이터베이스의 상당한 부분의 복제등으로 본다.
    ③이 장에 따른 보호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부분이 되는 소재의 저작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④이 장에 따른 보호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부분이 되는 소재 그 자체에는 미치지 아니한다.

저작권법 제94조(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제한)

  1. ①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의 목적이 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에 관하여는 제23조, 제28조부터 제34조까지, 제35조의2, 제35조의4, 제35조의5, 제36조 및 제37조를 준용한다. <개정 2011. 12. 2., 2019. 11. 26.>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누구든지 데이터베이스의 전부 또는 그 상당한 부분을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당해 데이터베이스의 통상적인 이용과 저촉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교육ㆍ학술 또는 연구를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 다만,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시사보도를 위하여 이용하는 경우

상담안내

  • 부      서 : 저작권상담센터
  • 전화번호 : 1800-5455
  • tag : 데이터베이스, DB, 데이터베이스제작자, 데이터, 소재

유형별 상담정보 결과에 만족하셨나요?

  • 유형별 상담정보의 최종답변은 사용자가 선택하신 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다른 경우의 최종답변이 궁금하시면 상담을 다시 실행해 보세요!

유형별 상담정보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표시해 주세요.

  • 더 좋은 유형별 상담정보를 만드는데 참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