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저작권위원회

인기검색어
폰트, 음악, PPT, 일러스트
전체 메뉴

사이트맵

닫기

유형별 상담정보

링크복사

질문

  • 저는 남북한 분단을 배경으로 한 소설을 쓴 작가입니다. 최근 방송사에서 저의 소설의 구도와 일부 표현이 유사한 드라마가 제작, 방송되었습니다. 소설과 드라마 사이에 저작권 침해 여부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  

현재 상담 진행률 100%

100%

  • 0%
  • 100%

최종답변

  • 창작성 있는 표현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경우에는 저작권 침해의 소지가 있으나, 구도와 같은 아이디어가 유사한 것만으로는 저작권 침해로 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원칙적으로 저작권은 창작성이 있는 표현을 보호하는 것이고, 표현이 아닌 아이디어는 보호하지 않습니다. 대법원은 “소설 등에 있어서 추상적인 인물의 유형 혹은 어떤 주제를 다루는 데 있어 전형적으로 수반되는 사건이나 배경 등은 아이디어의 영역에 속하는 것들로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대법원 2015. 3. 12. 선고 2013다14378 판결).

     

    구체적 경우마다 달리 판단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작품의 주제나 기본적인 배경, 구성, 캐릭터들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적 도구들로서 아이디어에 속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한과 북한의 대치 속에 테러조직과 정보기관의 대결 등의 구도는 분단소설에 흔히 등장하는 것으로서 아이디어에 영역에 속해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원저작물에 등장하는 구체적인 에피소드, 등장인물 및 그들 사이의 갈등 관계 등에 있어서 동일·유사성이 인정되며, 전체적인 줄거리는 물론이고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줄거리에서도 상당한 정도의 동일성 내지 유사성이 나타나고 있다면 저작권 침해가 인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 7. 17. 선고 2012가합86524 판결(항소기각, 상고심리불속행기각 확정).

    이 사건은 소설 출간 후 제작된 드라마의 표절 의혹이 문제가 된 사건으로, 법원은 “기존의 저작물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창작되었다고 볼 만한 간접사실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기존 저작물을 따라서 작성되었다고 추정되기 어렵고, 소설이나 시나리오 등에 등장하는 추상적인 인물의 유형 혹은 어떤 주제를 다루는데 전형적으로 수반되는 사건이나 배경 등은 아이디어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서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자동응답기능 만족도 조사

상담안내

  • 부      서 : 저작권상담센터
  • 전화번호 : 1800-5455
  • tag : 드라마, 표절, 전형적, 아이디어, 표현

유형별 상담정보 결과에 만족하셨나요?

  • 유형별 상담정보의 최종답변은 사용자가 선택하신 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다른 경우의 최종답변이 궁금하시면 상담을 다시 실행해 보세요!

유형별 상담정보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표시해 주세요.

  • 더 좋은 유형별 상담정보를 만드는데 참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