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IP기반 비즈니스 전략
콘텐츠 IP기반 비즈니스 전략 개요
개요
콘텐츠 분야별 국내외 선도기업의 비즈니스·상표 분석을 통해 시장 트렌드 및 각 선도기업의 경쟁 우위 확보 전략 등 성공적인 시장 공략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콘텐츠 기업이 참고할 수 있는 상표 권리화 및 비즈니스 전략 제시
분석대상 콘텐츠 분야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게임으로 하였으며, 기업 규모와 콘텐츠·비즈니스 강점을 기준으로 분야별 4개의 국내외 기업을 선도기업으로 선정하였음.
각 선도기업의 주요 콘텐츠, 타·동 산업 협업 사례, 해외 진출 성과 현황 등 비즈니스 분석과 국가·연도별 상표 출원, 상품류 현황, 지정상품 연관규칙, 상표 표장 등 상표
심층분석을 통해 콘텐츠 기업들에게 해외 진출 등의 사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상표 권리화 및 비즈니스 전략을 제시
분석절차

선도기업 IP기반 비즈니스 전략분석
- 선도기업 선정
- 선도기업 비즈니스 분석
- 선도기업 상표 분석
- 비즈니스 전략 도출
기대효과
- K-콘텐츠의 글로벌 진출 촉진
- 한국 콘텐츠 기업 비즈니스 영역 다각화를 통한 시장 경쟁력 강화
- 선도기업 권리화 벤치마킹 전략 기반의 한국 콘텐츠 기업 비즈니스 안정성 제고
- 한국 콘텐츠 기업의 접근 가능한 미래 비즈니스 영역 발굴
애니메이션
개요
선도기업으로 에스에이엠지엔터테인먼트(KR), 그래피직스(KR), 로커스(KR),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US)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캐릭터 포트폴리오 다각화’, ‘AR, AI 등 신기술을 적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협업을 통한 애니메이션 제작과 비즈니스 다각화’, ‘성인향 애니메이션 기반 애니메이션 포트폴리오 확대’ 등 비즈니스 측면의 벤치마킹 전략과 ‘자체 사업화 및 라이선싱 비즈니스를 위한 상품류 선택’, ‘문화적 차이 고려, 세계관의 효과적 전달, 이용자 이목을 집중시키는 표장 전략’, ‘애니메이션 장르를 암시하는 네이밍과 색상을 반영한 표장 전략’ 등 권리화 측면의 벤치마킹 전략을 도출함
에스에이엠지엔터테인먼트(KR)
-
대표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 시리즈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코스닥 상장사(‘22)
- 인기 애니메이션 IP에 기반한 자체 사업화 활발
- 오프라인 공간사업 등 IP 활용 콘텐츠 비즈니스 적극 전개
그래피직스(KR)
-
대표 애니메이션
<허풍선이쇼> 시리즈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중소기업
- 과학적 원리 담은 교육용 애니메이션 제작
- IP기반 공연·전시 등 오프라인 체험 제공 및 보드게임 등 완구 제작
로커스(KR)
-
대표 애니메이션
<레드슈즈>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중소기업
- 3D 애니메이션 제작 전 과정의 프로듀싱 역량 보유
- 대표작 <레드슈즈>로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대통령상 수상(’19)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US)
-
대표 애니메이션
<파워퍼프걸> 시리즈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글로벌 기업
- 아동부터 성인까지 애니메이션 수요층을 폭넓게 확장함
- 성인층 타겟한 현실 사태 풍자·패러디 애니메이션 제작
선도기업 권리화 벤치마킹 전략
구분 | 내용 |
---|---|
① 콘텐츠 기획·제작 단계 |
|
② 콘텐츠 마케팅·홍보 단계 |
|
③ 콘텐츠 사업화 단계 |
|
선도기업 권리화 벤치마킹 전략
구분 | 내용 |
---|---|
① 콘텐츠 네이밍 전략 |
|
② 표장 다각화 전략 |
|
③ 상품류 및 지정상품 선택 전략 |
|
④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콘텐츠 설계 및 상표 출원 전략 |
|
⑤ 개별국 및 마드리드 국제출원 전략 |
|
캐릭터
개요
캐릭터 분야의 경우, 몰랑 하얀오리(KR), 최고심(KR), 커버(JP), 크립톤퓨처미디어(JP)를 선도기업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메인 캐릭터와 서브 캐릭터의 상호작용을 통한 캐릭터 생동감 제고’, ‘MZ 세대를 공략한 SNS 기반 활동’, ‘VTuber 기반 새로운 캐릭터 비즈니스 모델 구축’, ‘지역 축제 및 라이브 공연 등 오프라인 행사를 통한 캐릭터 브랜드 강화’ 등 비즈니스 측면의 벤치마킹 전략과 ‘청각적 측면에서 캐릭터 이미지를 강조한 네이밍 전략’, ‘글로벌 시장에서 동일한 호칭으로 불리기 위한 캐릭터 명칭의 음역 표장’, ‘소비자에게 친숙한 메인 캐릭터명을 활용한 후속 캐릭터의 네이밍 전략’, ‘중국 내에서의 비즈니스 안정성을 위한 전류 상표 출원’ 등 권리화 측면의 벤치마킹 전략을 도출함
하얀오리(KR)
-
대표 애니메이션
<몰랑>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작가 설립 캐릭터 기업
- 남녀노소 선호 캐릭터 “몰랑”
- 프랑스 애니메이션 기업 ‘밀리마쥬’를 통한 애니메이션 제작 및
글로벌 배급
최고심(KR)
-
대표 애니메이션
<고심이>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작가 개인
- SNS를 통한 캐릭터 콘텐츠 게재로 캐릭터 인지도·인기 급상승
- 실물 부적 등 캐릭터 세계관 투영 제품 출시나 콜라보 활발
커버(JP)
-
대표 애니메이션
버튜버그룹 <hololive>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글로벌 기업
- 모션 캡쳐 기반 아바타로 활동하는 버튜버 캐릭터를 제작
- 각각의 버튜버 특성에 맞춰 게임, 콘서트 등으로 콘텐츠 다각화
크립톤퓨처미디어(JP)
-
대표 애니메이션
<하츠네 미쿠>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글로벌 기업
- 무형인 소리의 가상 아이돌화로 ‘하츠네 미쿠’ 등 캐릭터 출시
- 서로 다른 개성을 지닌 보컬로이드 캐릭터 개발
- 콘서트 개최, 관광 대사 등 활발한 비즈니스
선도기업 권리화 벤치마킹 전략
구분 | 내용 |
---|---|
① 콘텐츠 기획·제작 단계 |
|
② 콘텐츠 마케팅·홍보 단계 |
|
③ 콘텐츠 사업화 단계 |
|
선도기업 권리화 벤치마킹 전략
구분 | 내용 |
---|---|
① 콘텐츠 네이밍 전략 |
|
② 표장 다각화 전략 |
|
③ 상품류 및 지정상품 선택 전략 |
|
④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콘텐츠 설계 및 상표 출원 전략 |
|
⑤ 개별국 및 마드리드 국제출원 전략 |
|
게임
개요
게임 분야의 경우, 시프트업(KR), 네오위즈(KR), 닌텐도(JP), 프롬소프트웨어(JP)를 선도기업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독창적인 작화 및 매력적인 세계관을 통한 이용자 니즈 충족’, ‘다양한 게임 장르 및 플랫폼을 아우르는 폭넓은 게임 포트폴리오’, ‘OSMU 비즈니스를 통한 수익 창출 구조 다각화’, ‘미래 게임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기술융합 게임 콘텐츠 개발’ 등 비즈니스 측면의 벤치마킹 전략과 ‘게임 장르 또는 조작 방법을 드러내기 위한 게임 네이밍’, ‘브랜드 정체성 다변화를 위한 게임 타이틀 및 캐릭터 문자 상표’, ‘게임 스토리를 대표하는 짧고 기억하기 쉬운 슬로건 상표 출원’ 등 권리화 측면의 벤치마킹 전략을 도출함
시프트업(KR)
-
대표 애니메이션
<스텔라 블레이드>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코스피 상장 기업(‘24)
- 작가 설립 캐릭터 기업
- 서브컬쳐 게임 자체 개발 역량
- 2024년 <스텔라 블레이드> 출시 1개월 만에 8개국 판매량 1위 달성 등 인기 보유
네오위즈(KR)
-
대표 애니메이션
<P의 거짓>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게임 유통에서 게임 개발로 확장한 기업
- 자체 개발 게임 활용한 콜라보 제품 출시
- 게임 퍼블리싱 및 권리화로, 만화 콘텐츠 사업 등 권리 활용도 적극
닌텐도(JP)
-
대표 애니메이션
<슈퍼 마리오> 시리즈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글로벌 기업
- 콘솔 게임 이용 기기 중 ‘닌텐도 시리즈’의 높은 점유율
- ‘마리오 시리즈’ 등 글로벌 저명게임 보유
- 테마파크 등 비즈니스 영역 다각화 적극
프롬소프트웨어(JP)
-
대표 애니메이션
<천주> 시리즈
-
대표 표장
-
강점 (선정이유)
- 소울라이크 게임 장르 창시 기업
- <다크소울> 등 고난이도 게임의 진입 장벽에도 글로벌 성공 거둠
- 게임 IP 활용한 웹툰 연재 등 콘텐츠 활용
선도기업 권리화 벤치마킹 전략
구분 | 내용 |
---|---|
① 콘텐츠 기획·제작 단계 |
|
② 콘텐츠 마케팅·홍보 단계 |
|
③ 콘텐츠 사업화 단계 |
|
선도기업 권리화 벤치마킹 전략
구분 | 내용 |
---|---|
① 콘텐츠 네이밍 전략 |
|
② 표장 다각화 전략 |
|
③ 상품류 및 지정상품 선택 전략 |
|
④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콘텐츠 설계 및 상표 출원 전략 |
|
⑤ 개별국 및 마드리드 국제출원 전략 |
|